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내 콘텐츠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갈등했다. 구글 드라이브에 쓸 것인가? 블로그에서 바로 쓸 것인가?


뭔가를 쓰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쓸려고 하니 막연하다.

모티브는 바라트 아난드의 '콘텐츠의 미래'다. 책을 읽으면서 나의 디지털 활동을 반성했다. 내 콘텐츠는 연결되어 있는가? 사용자, 기능,제품 등 연결의 3요소를 갖추고 있는가? 또는 그런 연결을 염두에 두고 내 콘텐츠를 운영한 적이 있는가?

내가 시도한 연결은 트랙백과 퍼나르기 정도였다.

PC통신시절부터 디지털 형태로 콘텐츠를 생산했지만, 나의 구독자 또는 잠재적 구독자와 연결이 부족하거나 불완전하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구상할 수 있는 연결은 블로그에 글을 쓰고, 이 글을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퍼블리시하는 것이다.

그런 노력을 기울여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의 콘텐츠에 연결을 원할까 싶기도 하다. 내가 다루는 주제,나의 스타일상 폭발적인 연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내가 연결하고 싶은 구독자와 잠재적 구독자는 누구인가? 이 주제부터 생각해야 겠다.

나는 디지털 미디어 현장 종사자와 연구자와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그들과 나누고 싶다. 또 피드백도 받고 싶다.

나는 테크 트렌드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는 걷기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는 초등학교 자녀를 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초등학교 자녀를 교육하면서 겪는 여러 일을 공유하고 싶다.

나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그중에서도 전자단말기를 이용해 독서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고 싶다.


댓글

  1. 한국에서 콘텐츠의 연결을 통해 성공한 예 중의 하나가 '고도원의 아침편지' 일 것입니다.
    처음에는 고도원씨가 짧은 글을 선택해서 메일로 서비스를 하다가 오프라인 커뮤니티가 만들어지고 커뮤니티가 커지니 다른 활동에 대한 욕구가 생기고 이를 묶어서 거대한 오프라인 플랫폼을 형성했습니다.
    그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 본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의 연결이 어떻게 네트워크로 이어지는가를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겠지요.

    어쩌면 옛 것이라고 묵혀두고 거들떠 보지 않는 것에서 현재의 실천을 시작할 단서가 있을수도 있을 것입니다.

    답글삭제
  2. 이메일클럽도 괜찮은 연결이었는데, 고도원의 아침편지처럼 성장을 못했네요.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