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했다. 구글 드라이브에 쓸 것인가? 블로그에서 바로 쓸 것인가?
뭔가를 쓰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쓸려고 하니 막연하다.
모티브는 바라트 아난드의 '콘텐츠의 미래'다. 책을 읽으면서 나의 디지털 활동을 반성했다. 내 콘텐츠는 연결되어 있는가? 사용자, 기능,제품 등 연결의 3요소를 갖추고 있는가? 또는 그런 연결을 염두에 두고 내 콘텐츠를 운영한 적이 있는가?
내가 시도한 연결은 트랙백과 퍼나르기 정도였다.
PC통신시절부터 디지털 형태로 콘텐츠를 생산했지만, 나의 구독자 또는 잠재적 구독자와 연결이 부족하거나 불완전하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구상할 수 있는 연결은 블로그에 글을 쓰고, 이 글을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퍼블리시하는 것이다.
그런 노력을 기울여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의 콘텐츠에 연결을 원할까 싶기도 하다. 내가 다루는 주제,나의 스타일상 폭발적인 연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내가 연결하고 싶은 구독자와 잠재적 구독자는 누구인가? 이 주제부터 생각해야 겠다.
나는 디지털 미디어 현장 종사자와 연구자와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그들과 나누고 싶다. 또 피드백도 받고 싶다.
나는 테크 트렌드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는 걷기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나는 초등학교 자녀를 둔 사람들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초등학교 자녀를 교육하면서 겪는 여러 일을 공유하고 싶다.
나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과 연결되기를 원한다. 그중에서도 전자단말기를 이용해 독서하는 사람들과 연결되고 싶다.
한국에서 콘텐츠의 연결을 통해 성공한 예 중의 하나가 '고도원의 아침편지' 일 것입니다.
답글삭제처음에는 고도원씨가 짧은 글을 선택해서 메일로 서비스를 하다가 오프라인 커뮤니티가 만들어지고 커뮤니티가 커지니 다른 활동에 대한 욕구가 생기고 이를 묶어서 거대한 오프라인 플랫폼을 형성했습니다.
그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 본 것은 아니지만 콘텐츠의 연결이 어떻게 네트워크로 이어지는가를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겠지요.
어쩌면 옛 것이라고 묵혀두고 거들떠 보지 않는 것에서 현재의 실천을 시작할 단서가 있을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메일클럽도 괜찮은 연결이었는데, 고도원의 아침편지처럼 성장을 못했네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