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직장인 독서력]똑똑한 질문으로 인생을 바꾸는 법

회사 생활에서나 개인 생활에서나 실제 바보같은 질문이라도 안 하는 것 보다 하는 게 더 나은 결과를 얻는다. 대부분 체면 의식때문에 질문하기를 꺼려 한다.
질문을 꺼리낌없이 하되, 이왕이면 좀 영리하게 질문을 던지는 방법이 없을까?
협상 전문가 린다 스윈들링은 자신의 저서 ‘우물쭈물 하지 않고 영리하게 물어보는 법’에서 누구나 오프라 윈프리처럼 영리하게 질문하는 법을 익힐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프라 윈프리는 25년 동안 자신의 이름을 내건 토크쇼를 성공시킨 '미디어 여왕'이다. 그녀의 성공 비결로 많은 이들은 탁월한 질문 능력을 꼽는다. 유명 배우이건 평범한 직장인이건 윈프리가 인터뷰하면 결과물이 남다르다는 것.
방송계 인사라서 그런 질문 능력을 개발한 걸까. 그렇지 않다. 인간 관계와 협상 전문가인 린다 스윈들링(Swindling·53) 저니온 대표는 평범한 일상인들도 그런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말한다.
스윈들링이 최근 펴낸 '우물쭈물하지 않고 영리하게 물어보는 법(Ask outrageously)'에서 궁금한 내용이나 원하는 걸 대담하게 묻거나 요청하라고 말한다. 그녀는 "최고의 협상가는 최고의 질문가"라며 "단순한 질문을 던지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정보를 얻거나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1163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망설임이나 어색함을 무릅쓰고 뭔가 요청해 본 응답자 중 96%는 '크든 작든 더 나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가령 호텔에 체크인할 때 '혹시 더 좋은 방을 줄 수 있느냐'고 물어보는 것만으로도 적어도 좀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직장에서도 묵묵히 있는 사람보다 계속 질문하고 요청하는 직원에게 승진 기회가 가까워지고 예산도 많이 할당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어진 대로 받아들였을 때와 요청했을 때 결과는 다릅니다."
스윈들인은 좋은 질문법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핵심은 '진짜로 원하는 바를 묻는 것'과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다. 첫째로, 마음속으로 바라기만 해선 누구도 먼저 도와주지 않는다. 둘째, 부탁을 들어줄 능력과 여력을 갖춘 사람에게 요청해야 한다.
상대가 뭘 원하는지, 이 요청이 상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여러 번 거절당했을 땐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필요는 없다. 조금 더 가벼운 부탁이나 다른 도움을 요청하는 식으로 접근 방식을 수정해보는 게 낫다."

교재

생각거리/토론거리

나는 상사에게 질문을 꺼리낌없이 하고 있는가? 회의에서 당당하게 내가 던지고 싶은 질문을 하는가?
하지 못한다면 어떤 이유때문인가?
내가 질문을 잘 못한다면, 올바른 질문 방법을 몰라서 그런 것이 아닌가?
나는 어떤 방식으로 질문하고 있는가? 

스윈들링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내 질문 방식을 점검하고 바꿀 수 있는가?

댓글

  1. 지금까지 질문을 하게 되면 내 능력이 부족함을 드러내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때문에 질문을 잘 못해왔었던 것 같습니다.
    질문을 하기전에 준비를 잘 하고 질문해왔다면 덜 그랬을 것 같은데 질문을 위해서 뭔가 준비를 한다는게 익숙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질문이 필요할 때 잠깐 정리를 해서라도 좋은 질문을 하도록 노력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업무중에 상대에게 요청을 하는 것도 질문을 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해서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답글삭제
  2. 누군가에게 질문을 할때 내가 원하는 것에만 포커스를 맞춰서 상대방에게 요청하면 교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질문을 할 때 여러 가지 형태로 바꾸어서 생각해 보는게 좋다. 말을 살짝 바꿨을때 느낌이 달라지고 또 그에 따라 리액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예측해 보는 것이다.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의 사소한 부분을 바꿈으로 인해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상사에게 질문을 거리낌없이 할 수 있으려면 1%의 용기와 99%의 반응 예측이 필요하다. 준비없는 질문은 무의미한 시간 낭비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귀독서법_전자책 TTS기능활용

귀독서법_전자책TTS기능활용 '디지털 시대 오디오의 재발견' 칼럼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귀독서'방법을 문의하셨습니다. 방법을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1,스마트폰에 리디북스 앱을 깐다. (안드로이드폰을 기준으로 설명) 삼성갤럭시 시리즈와 LG전자 G또는 V시리즈의 경우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에서 ‘리디북스' 단어로 앱을 검색합니다. 앱은 무료입니다. 2.원하는 전자책을 구매한다. 전자책을 사려면 리디북스 앱에서 아래쪽 메뉴중 ‘서점' 메뉴를 터치합니다. 서점에서 원하는 책을 찾고 구입 대상을 선택할 때, 듣기 기능 지원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 책은 듣기기능(TTS)를 제공합니다. PDF파일은 듣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3.전자책 뷰어 하단 메뉴에서 '듣기'버튼을 터치한다. 전자책을 사고 사서,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다운로드를 하면 내 서재에 표시됩니다. 내 서재에서 듣고 싶은 책을 선택합니다. 이어 전자책 뷰어의 기능중에서 맨 아래 메뉴 ‘듣기'를 터치합니다. 4.책읽어주는 기계의 목소리는 여자(수진)/남자(민준)중에서 고른다. 음성합성 목소리는 여자와 남자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5.듣기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듣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잠자기전에 듣기 타이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시간을 설정하면 1시간 후에 자동으로 듣기 기능이 멈춥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