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소셜 리딩]유발 하라리의 21세기를 위한 제언_독서 시작


유발 하라리의 최근 책을 읽기 시작합니다. 호모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등 하라리의 전작인  계보를 잇는 책입니다. 세 권의 책이 한 세트를 이룹니다.
무작위 듣기를 통해 몇가지 독서 포인트를 찾았습니다. 우선 하라리는 호모 데우스에서 다뤘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문제가 인류에 미칠 위험을 짚습니다.
그는 특히 데이터 푸어와 데이터 리치간 계급간 분화가 낳을 위협을 파고듭니다. 인간은 빅데이터를 장악한 슈퍼 리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데이터의 노예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마존 서점 유발 하라리 책 정보 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유발 하라리가 언론 인터뷰에서 강조했던 영성 추구도 귀에 들어옵니다. 하라리는 매년 인도 명상센터에 한 달가량 명상을 합니다. 불가의 동안거와 같은 영적 활동이지요.
하라리는 종교와 민족주의가 오늘날 테러와 국가간 전쟁 위험을 어떻게 구조화하고 있는지도 살핍니다. 세속주의적 관점에 오히려 종교나 민족주의가 일으키는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측면을 집중적으로 팝니다.
귀독서를 하면서 귀에 쏙 들어오는 대목을 스크랩하겠습니다. 독서를 마무리하면 다시 독서 경험을 공유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