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직장인 독서력]콘텐츠의 미래_기능적 연결관계 편_동영상 강의

바라트 아난드 하버드대 교수는 ‘콘텐츠의 미래'에서 사용자 연결, 제품 연결, 기능 연결을 콘텐츠 함정에서 탈출하는데 필요한 3각 축으로 제시했습니다. 이중 기능 연결 부분은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아난드 교수는 이코노미스트 사례를 주로 기능 연결의 모범 사례로 들고 있습니다. 영국 경제 매체인 이코노미스트는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은 매체로 평가를 받습니다. 기능적 연결관계 관점에서 이코노미스트의 디지털 전략은 어떤 것인가요?

널리 알려진 대로 이코노미스트는 인터넷 대중화 초기에 디지털를 외면하는 듯이 보였습니다. 하지만 경쟁자 뉴스위크는 1달러에 매각됐고, 이코노미스트는 디지털이라는 대 전환점을 넘어 생존에 성공했습니다.

 기능적 연결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호보완성 개념, 트레이트 오프 개념을 먼저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특히 미국의 투자 자문사인 에드워드 존스(Edward Jones Investment)의 계산된 트레이드 오프 전략을 잘 이해하면 기능적 연결관계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