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디지털 홈]침실 형광등을 LED로 교체하기


LED로 교체한 침실등

LED가 대세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가정에서 형광등이 주류입니다. 정확하게 기록하지 못했지만 형광등을 주기적으로 말썽을 일으킵니다. 주로 형광등이 수명을 다해 새로운 형광등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간혹 안정기가 고장이 나서 안정기를 교체하기도 합니다.

가장 짜증스러운 것은 3개~4개로 구성된 거실이나 침실의 형광등이 돌아가면서 고장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조도가 떨어지고 결국 아무리 스위치를 껐다 켰다해도 대답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기존 침실등의 갓을 벗겨낸 모습. 침실등 틀을 완전히 빼냅니다.


LED등 지름 50센티미터 50W짜리를 천장 마운트를 설치 한뒤, 나사로 조인 상태
천장에서 나온 전선을 LED등에 연결한 상태
형광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LED등으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1년전쯤 거실등을 LED모듈을 이용해 교체한 경험을 밑천삼아 세운상가 조명업체를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았습니다. 최근 LED가격이 많이 싸져서 모듈방식대신에 완제품을 사기로 했습니다.

여러 제품을 둘러보고 레드반스 오스람 제품을 선택해서 혼자서 무난하게 침실등을 잘 교체했습니다. 두꺼비집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을 마친 뒤, 다시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와'하고 스스로 감탄했습니다.

구입정보


50W(지름 50cm) 기준으로 Virton 2만 6000원(호가)/남영 3만5000원(호가)/LEDVANCE 오스람 3만원(호가). 이중 오스람 제품을 2만8000원(현금가)로 샀습니다.(인터넷 쇼핑몰에 올라온 가격보다 쌉니다. 배송비도 아꼈습니다.) 



오스람 제품의 경우 리모컨기능을 추가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리모콘 기능 추가 제품은 7만원(호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