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소셜 리딩]미하엘 옌데의 모모,시간의 비밀


늦둥이가 읽는 ‘마법의 설탕 두 조각’ 덕분에 모모를 만났다. 설탕 두 조각의 저자는 미하엘 옌데이고, 그가 ‘모모’의 저자다. 설탕 두 조각을 읽고 옌데에 호기심을 갖지 않았다면 모모를 읽으려고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모모는 시간에 관한 이야기다. 최근에 ‘뇌과학과 심리학이 알려주는 시간 컨트롤’을 읽은 덕분에 모모의 주제를 좀 쉽게 접했다. 
작품에서 다음과 같은 수수께끼가 등장한다. 한번 수수께끼를 맞춰보세요.
세 형제가 있다. 집에 막내만 있고 두 형은 없다. 첫째 형은 집에 오는 중이고, 둘째 형은 집을 나갔다. 셋째가 없으면 다른 형도 없다. 또 셋째는 첫째가 둘째로 변해야 볼 수 있다.  세 형제는 하나일까? 아니면 둘일까? 아니면 아무도 없는 것일까?

정답은 첫째 형은 미래, 둘째형은 과거, 집에 있는 막내는 현재다.

사람은 누구나 시간을 갖고 있지만, 사용하는 방법을 모두 다르다. 자신의 삶을 즐기고 개척하는데 시간을 잘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의미 없는 일에 시간을 허비하면서 사는 사람이 있다. 자신의 시간을 지키는 것은 자신의 몫이다.

모모를 납치하는 세력은 회색신사로 불리는 시간 도둑이다. 사람들이 허비하도록 하고 그 시간을 훔치는 존재다. 시간을 왜 도둑맞을까? 미래를 너무 많이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과거의 삶을 멈추고 현재를 즐기며, 미래를 기대하는 순간에 살고 있다. 소설가 파울로 코예료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현재를 무시한 채로 미래에 관해 너무 많이 생각한다. 그래서 현재도 미래도 모두 경험하지 못한다.”(시간 컨트롤 중에서)
‘시간 컨트롤’은 자신의 시간을 길게 늘리는 방법을 알려준다. 우선 3초 정도의 순간을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아름다운 경치, 품격있는 사람을 만나는 순간을 즐겨야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