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초등생 독서력]슈렉만든 윌리엄 스타이그의 동화 세계

슈렉을 보면서 참 기발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떻게 저런 비호감 캐릭터를 만들어 아이와 어른까지 좋아하게 만들까 싶습니다. 애니메이션 슈렉의 원저자가 윌리엄 스타이그라는 점을 우연히 알고, 큰 아이가 어릴 때 슈렉 동화책을 구해서 읽었습니다.

동화책속 슈렉은 애니메이션속 슈렉보다 더 더럽고 혐오스러운 모습과 버릇을 갖고 있지요. 둘째 딸을 키우면서 15년만에 다시 책장에서 먼지가 쌓인 슈렉을 찾아서 보여줬씁니다.그런데 아이가 그런 슈렉을 보면서 고개를 돌리지 않고 쑥 빠진답니다.

아이의 이런 반응을 보고, 알라딘 중고서적을 돌아다니면서 윌리엄 스타이그의 책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부루퉁한 스핑키, 당나귀 실베스터와 요약 조약돌, 멋진 뼈다귀,노랑이와 분홍이, 아모스와 보리스 등.

스타이그의 책은 앤서니 브라운처럼 연령대를 초월해서 재미와 행간에 숨은 메시지를 주는 책입니다.

윌리엄 스타이그의 동화 세계

저는 스타이그가 궁금해서 책 겉장에 소개된 약력을 살폈습니다. 스타이그는 본래 뉴요커, 라이프 등 잡지에 만화를 그리는 만평가(Cartooninst)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그러다가 60세 이르러 처음 어린이용 책을 직접 쓰고 그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카툰계 시각에서 보면 스타이그는 이미 대가였습니다. 동화작가 세계에서는 늦게 꽃을 피운 대기 만성형 작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슈렉'을 1990년에 출간했고, 이 책을 원전으로 삼은 영화 '슈렉'이 2001년에 개봉됐습니다.

스타이그는 슈렉2 기획에 참여했고, 2003년 95세 나이에 세상과 작별을 했습니다. 슈렉의 명성으로 인하여 스타이그는 동화작가 세계를 넘어 애니메이션 세계까지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셈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