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워킹 서울]종각에서 역사 책방까지_광복절 기념 2018년 행사

통의동 역사 책방에서 광복절 순성의 의미를 새기다.
매년 삼일절과 광복절에 서울 성곽을 한 바퀴를 도는 순성행사를 합니다. 올해는 폭염을 고려해 순성 코스를 줄였습니다. 서울 종각 광장에서 모여서 종각~조계사~우정국터~풍문여고~경기고터~삼청공원~말바위~북악산 팔각정~창의문~청와대앞 무궁화 동산~통의동 역사 책방에 도착했습니다.

삼일절과 광복절에 성곽 한 바퀴를 돌기 전에 꼭 숭례문광장이나 종각 광장에서 '대한독립 만세' 삼창 행사를 갖습니다. 워킹 서울 참석자들이 처음에 쑥쓰러워 했으나, 이제 자연스럽게 만세를 외칩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인의 애국심을 많이 생각합니다.   관념으로서 애국심은 아주 강합니다. 특히 다른 나라와 축구, 야구 등 스포츠를 할 때 한국인은 애국심을 강하게 표현합니다.

하지만 생활속에서 애국심을 잘 표현하지 못합니다. 권위주의 체제에서 애국심을 너무 강요받은 탓일까요? 워킹 서울에서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는 의식을 갖는 것은 생활속에서 애국심을 표현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폭염속에서 광복절 순성 행사를 참석해 즐겁게 걸으면서 정과 지식을 나눈 워킹 서울 동지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종각앞에서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다.

조계사 대웅전앞 백송을 만나다.
정독 도서관옆 북촌 골목길을 걷다.

말바위 성곽길을 걷다
말바위에서 만난 남산과 관악산
창의문에서 청와대 방면으로 내려가다.
역사책방 근처 음식점에서 보리밥을 먹으면서 뒷풀이를 하다.
통의동 역사 책방(대표 백영란)을 워킹 서울의 베이스 캠프로 활용합니다. 오늘 행사 뒷풀이에서 워킹 서울 회원들의 걷기 경험을 담은 문집을 만드는 것을 다시 논의했습니다.
앞으로 역사 책방을 워킹 서울 본부로 삼아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방안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워킹 서울은 걷기 오픈 플랫폼입니다. 누구나 토요일 출발 장소에 오셔서 함께 걷고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워킹 서울 공식 소식은 페이스북 워킹서울 그룹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