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펜맨 소셜리딩]프로 골퍼 패드릭 해링턴에서 배우는 멘탈 단련


안녕하십니까? 우병현입니다. 저는 매일 출퇴근 시간에 전자책을 귀로 듣고 있습니다. 그 독서 경험을 여러분과 뉴스레터 형식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에는 민학수 기자가 ‘열 다섯번째 골프 클럽의 기적'을 추천해서 듣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스포츠 심리학자 밥 로텔라 박사입니다. 로텔라 박사는 특히 프로 골프 선수의 심리 치료와 상담을 오랫동안 맡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썼습니다. 로텔라의 책에서 핵심 소재는 아일랜드의 패드릭 해링턴 선수 케이스입니다. 저도 가끔 골프 채널에서 해링턴 선수의 플레이를 보곤해서 이름이 낯설지 않았습니다. 해링턴은 2000년대 중반 로텔라박사를 찾아와 심리 상담을 받기 시작합니다.

프로 골프 대회 마지막 날 경기를 시청하거나, 개인적으로 필드에 나가 골프를 즐길 때나 ‘골프는 멘탈 게임'이라는 말을 늘 실감합니다. 프로와 아마추어는 기술 완성도면에서 차이가 날 뿐, 자신과 싸워 모든 상황을 스스로 돌파해야 하는 면은 같습니다. 
프로 골퍼들은 인터뷰에서 하나같이 ‘경기를 즐기려 한다. 자신의 경기에 집중하려고 한다'라는 투로 말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런 마음을 먹고 또 먹어도 실제 경기중에서는 자신의 실수에 짜증을 내고, 다른 선수의 굿 플레이에 자극을 받고, 갤러리의 사진 촬영 소리에 루틴이 무너지곤 합니다.
로텔라 박사는 그래서 강한 멘탈이란 그저 마음 먹는다고 얻는 것이 아니라, 근력을 단련하듯 무너지고 무너지더라고 또 다지고 다져서 마침내 도달하는 경지라고 진단합니다. 
프로나 아마추어나 모두 일정 시간을 얻을 때, 멘탈 단련보다 기술 단련에 시간을 사용하곤 한답니다. 해링턴은 그런 유혹을 떨치고, 타깃에 집중하는 멘탈 단련에 힘을 쏟아 마침내 2007년 브리티시 오픈에서 연장전 압박감을 떨치고 우승컵을 거머쥐었습니다.
 
‘열 다섯번째 클럽의 기적'을 들으면서 묘하게도 제가 뛰고 있는 필드(현실)을 떠올렸습니다. 프로 골퍼가 스윙 메카니즘, 아름답고 완벽한 스윙 폼에 집착한다면, 저는 일하는 명분과 나의 정당함을 지나치게 추구하는게 아닐까라고 생각했습니다. 
명분이나 정당함보다 내가 추구하는 목표(타깃)에 집중하면서 저 만의 루틴을 밟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로텔라 박사의 책을 접한 계기로, 2007년 브리티시 오픈 최종 라운드 경기를 유튜브에서 찾아 봤습니다. 해링턴이 1타차 선두인 상태에서 카누스티의 18번홀 티 박스에 올랐습니다. 그는 티샷을 해저드에 빠뜨립니다. 이어 3타도 다시 해저드에 빠뜨립니다. 
해링턴은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5타 웨지샷을 홀 가까이이 붙여 보기로 마무리합니다. 만약 그가 더블보기로 경기를 마쳤다면 디 오픈의 저그는 가르시아의 차지였습니다. 두 번의 실수를 겪고 5타를 깃대에 붙일 수 있는 힘은 멘탈덕분입니다.
로텔라의 책을 듣고 나서, 웬지 기분이 좋았습니다. 다음 골프 라운딩 기회를 맞이하면 저 만의 멘탈 게임을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Input caption text here. Use the block's Settings tab to change the caption position and set other styles.

펜맨의  전자책 독서 경험을  펜맨의 소셜리딩 사이트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종종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