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분해매핑으로기사읽기_시코노믹스_최유식

시코노믹스_동영상강의


런쩌핑(任澤平) 헝다경제연구원장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원과 연구실 부주임 등으로 일하면서 성장 속도 변속론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그는 작년 8~9월 팡정(方正)증권 주최로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 등지에서 열린 전문가 대상 강연회에서 류허 경제팀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정책인 '시코노믹스'를 이렇게 설계하게 된 구체적인 근거를 밝혔다. 

그의 강연록은 류허가 올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격)에서 경제 담당 부총리로 선출되면서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서 필독서가 됐고, 중국 소셜 미디어를 통해 대대적으로 전파되고 있다.<위클리비즈 2018년 5월 5일자 최유식부장 기사중>

최유식부장의 글은 시진핑의 경제 정책, 시코노믹스를 누가 설계하고 이끄는지를 공부할 수 있는 기사입니다. 이 기사를 소재로 중국의 경제 정책을 공부합니다.

학습정보 공유하고 토론하기

교재 


"한국 등 12개국 집중연구… 레이거노믹스서 따온 新성장전략" 위클리비즈 5월 5일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