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능한 인재 키우기_신문을 활용한 독서력 향상법







조직이 원하는 유능한 인재는 어떤 인재인가. 가장 간단하게 정의하면 사장처럼 일하는 사람이다. 사장처럼 회사 전체 일을 고민하고, 해결책을 스스로 찾고 실행하는 사람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직 안팎의 문제를 스스로 포착해, 문제 해결책을 찾아서 실행하는 사람이다. 즉 자발적 문제포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이렇게 정의해도 유능한 인재상을 정의하기 어렵다. 문제포착및 문제해결능력이라는 표현도 여전히 추상적이기 때문이다. 또 그런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을 시켜야 하는가, 또 실제 교육 효과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거리다.

문제 포착및 해결에 필요한 요소부터 분해해보자. 회사안팎의 문제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넓은 시야가 필요하다. 또 축적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작은 현상을 보더라도 시야가 넓고 광범위한 지식을 축적한 사람은 이 현상이 소음에 그칠 것인지, 실제 깊숙한 문제를 알려주는 위험신호인지를 알 수 있다.

문제해결을 잘 하려면, 넓은 시야와 축적된 지식외에 좋은 네트워크과 같은 활용가능한 리소스를 많이 갖고 있어야 한다.  이것만 갖고도 부족하다. 가설추론를 잘 활용해야 하고, 가설 검증에 필요한 단서를 많이 모을 수 있는 부지런함과 끈기도 갖고 있어야 한다.

사장의 입장에서 문제포착및 해결능력만으로 부족하다. 소통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한다. 소통능력의 첫번째 측면은 말귀를 알아듣는 능력이다. 즉 상사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상사를 잘 설득해야 한다. 두번째 측면은 동료를 잘 설득하는 능력이다.

소통능력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제 3자의 뇌 관점에서 사고하는 습관이다. 나의 뇌 관점에서 다른 사람의 말을 해석하거나, 나의 뇌 관점에서 나의 의도를 전달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내가 상대방에게 말을 할때 내 머리속의 복잡한 생각과 배경 지식은 상대방에게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말을 한창 하고 나서 ‘내 뜻 알겠지'라고 말하면, 상대방은 ‘네'라고 말할 것이다. 그럴 때 진짜 내 의도가 전달됐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습관적으로 ‘네'라고 말했을 뿐, 자기 뇌의 프레임으로 정보를 접수했을 것이다.

상대방의 말과 글도 제3자 뇌 관점에서 뜯어봐야 한다. 그렇지 않은 나의 뇌 프레임에 통과된 것만 받아들인다. 내가 파악한 것이 진짜 상대방 생각인지 확인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면 문제 포착및 문제해결 능력,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

신문, 실용지식(또는 전문지식), 고전 등 3가지 요소를 잘 섞어서 매일 공부해야 한다. 이렇게 공부하는 것을 독서력 키우기라고 할 수 있다.

신문은 시야를 넓히고 지식을 꾸준히 축적하는데 최고의 교재다. 또 실용지식이나 고전에 대한 흥미를 갖는데 좋은 자극제다. 나아가 신문은 문제해결하는데 필요한 소재이기도 하다.

신문은 매일 출근전에 집에서 봐야 한다. 훑어만 봐도 좋다. 다만 1개 정도 기사를 스크랩할 것을 권한다. 주말에는 매일 1개이상 모아둔 기사스크랩중에서 1개를 골라서 펜으로 종이에 요약하면서 읽는다. 이런 기법을 통해서 신문에 인용된 책이나 원천 자료를 찾고 싶은 욕구를 자극받는다.

실용지식과 고전은 책형태에 담겨 있다. 책은 1주일에 한권정도 소화할 수 있다. 책 선정은 절반은 직급별 추천도서목록에서 고르고, 절반은 신문기사나 주변 추천을 통해 고르면 좋다. 휴가나 출장 등을 감안해 52주중 40주에 한권씩 소화하는 것으로 계산해 연 40권 정도 읽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단행본을 읽을 때 눈으로 읽는 것보다, 한 장만 골라서 손으로 뜯어서 읽는 것을 권한다. 이런 손독서를 하고 나서, 흥미를 느낄 때 나머지 장은 눈으로 읽어도 좋다.

손으로 뜯어서 읽는다는 것은 마인드맵 기법의 일종인 ‘분해매핑'기법을 이용해 종이에 펜으로 내용을 지도형태로 요약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3자 뇌의 관점에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분해매핑기법은 소통능력 향상에 아주 좋은 도구다. 내가 하고 싶은 메시지도, 사전에 머리속 생각을 분해매핑함으로써, 객관화할 수 있다. 마치 내가 상사가 되어 내 머리속 생각을 뜯어보면, 빈 구석, 논리적 허점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