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하룻밤에 읽는 블록체인_손독서_정민아&마크게이츠

하룻밤에 읽는 블록체인
하룻밤에 읽는 블록체인
정민아, 마크 게이츠 지음| 블루페가수스|298쪽|1만3800원
“블록체인은 특정 조직이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믿을 수 없다는 ‘불신’에서 시작된 기술이다.”
테크 PR업계에서 명성을 쌓은 정민아 민커뮤니케이션스 대표가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활동하는 마크 게이츠(Mark Gates)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과 최신 트렌드를 소개하는 책, ‘하룻밤에 읽는 블록체인'을 출간했다. 엄밀히 말하면 게이츠의 책(Blockchain;Ultimate guide to understanding Blockchain)을 한국 사정에 맞게 재구성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펴낸 책이다.
책 제목을 보면 예상할 수 있듯이 저자는 손에 잡히지 않는 복잡한 첨단 디지털 기술 트렌드를 일반 사람들에게  쉽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5장 블록체인 기술로 공공도서관 만들기편을 골라서 손으로 분해매핑하면서 읽었다.
저자는 은행과 도서관의 공통점에 착안해 블록체인 원리를 풀이한다. 현재 도서관 시스템은 기본 책 정보부터 대출자 정보, 대출 이력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한다. 도서관 회원이 책을 빌리면 데이터베이스에 그 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하면서 다른 회원이 이미 대출된 책을 신청하면 대출중이라고 알린다.
도서관의 이와 같은 중앙집권화된 시스템에서 일반 회원은 ‘내가 원하는 책을 누가 빌려갔는지’ 알 수 없다. 만약 같은 아파트 같은 동에 사는 사람이 빌려갔다면, 두 회원은 중앙도서관을 통해서만 연결될 수 밖에 없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완전히 다른 공공도서관을 만들 수 있다. 먼저 내가 보유한 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공개한다. 나와 가까운 곳에 사는 사람이 책을 신청하면 빌려주고 보상으로 북코인을 받는다.
나도 원하는 책이 있으면 도서데이터베이스에서 책을 검색하고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에게 빌린다. 이때 내가 빌려주고 받은 북코인을 사용한다. 만약 내가 빌려준 책 보다 더 많은 책을 빌리려고 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는 승인이 떨어지지 않는다.
▲’하룻밤에 읽는 블록체인' 중 ‘제 5부 블록체인 기술로 공유도서관 만들기’ 편을 분해매핑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로 완전히 다른 공공도서관을 만들 수 있다.

중앙통제 시스템이 없는 분산시스템에서 어떻게 그런 검증이 가능할까? 저자는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를 통해 쉽게 설명한다. 블록체인은 최초 거래의 블록부터 최신 거래 블록까지 모든 블록을 체인으로 엮고, 이 데이터를 검증참여자가 공유하면서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내가 빌려준 책보다 더 많은 책을 빌리려고 하면, 검증 참여자들이 모든 거래 블록을 검증하면서 승인 또는 불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50% 참여자가 승인을 하지 않으면 부정거래가 된다.
공저자인 정대표는 닷컴붐 시절에 컴팩 등 IT기업 홍보일을 하기 시작해 20여년동안 테크분야 홍보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여러 홍보 중에서 IT홍보는 한국어는 조사밖에 사용하지 않는 기술분야와 기술 밖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통역사 역할을 해야 한다.
저자는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넷 도입 초창기를 떠올리면서 블록체인 흐름이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인식한다. 또 러시아, 체코 등 블록체인 활성화 지역에 뿌리를 둔 블록체인 기업의 국내 활동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한국 블록체인 산업의 현실을 꿰뚫어 보는 기회를 가졌다.
만약 블록체인이 현재 인터넷 산업구조를 초토화시킬 정도로 파괴력을 갖고 있다면, 저자 관점에서 한국의 현재 상황은 비관적이다. 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이 한국을 중요시하는 것은 암호화폐 소비처로서의 매력이다.
블록체인 기반 기술에 대한 투자와 인력도 부족하다. 더욱이 정부가 종합적 검토없이 ICO(Initial Coin Offering)를 금지하면서 국내 블록체인 기반 스타트업들이 발길을 해외로 돌리고 있다. 정대표는[a] “(한국이)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소비국가, 비트코인 투기 국가가 아니라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기술에 투자하는 생산적인 기술 국가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5장을 읽고 나서 서문부터 차례로 책 전체를 읽었다. 특히 알렉산더 이바노프 웨이브즈 플랫폼 창업자, 안명호 에덴체인 창업자 등 4명의 블록체인 리더 인터뷰를 담은 장을 눈여겨 봤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스타트업들이 벤처투자가를 찾는 대신 ICO를 준비하는 현장을 목격했다.
블록체인이 거품 제조기 역할을 하는 것은 확실하다. 거품제조기가 뿜어내는 수만개 거품 중에서 서너개 진짜가 나올 때 새로운 패권자가 새로운 질서를 지배할 것이다. 테크 버블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공부하고 경험해보는 수 밖에 없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분해매핑으로발췌독서하기_주홍색연구_추리과학

셜록 홈즈처럼 생각하기_홈즈의 가추법 배우기 코난 도일은 탐정 소설속 주인공인 셜록 홈즈를 통해 가추법을 정립했습니다. 홈즈가 사건을 의뢰받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은 가설추법, 즉 가추법입니다. 즉 단서를 수집합니다. 이어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몇가지 가설을 세웁니다. 가설에 따라 추가 단서를 수집합니다. 추가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가능성이 떨어지는 가설을 버리고 마지막 가설을 채택합니다. 홈즈 가추법의 핵심은 관찰력입니다.홈즈는 구두에 붙은 흙, 사건 현장에 떨어진 담배재, 옷 소매의 닮은 정도 등 단서를 예리하게 관찰합니다. 가추법의 두번째 핵심요소는 단서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지식입니다. 홈조는  런던 지역 토양, 담배 종류와 담배재 특징 등 범지와 관련된 단서를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필요한 지식을 평소에 지속적으로 쌓습니다. 홈즈의 가추법은 홈즈 시리즈를 관통하고 있지만, ‘주홍색 연구'와 ‘공포의 계곡' 도입부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가추법은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논리기법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가추법은 저널리스트가 특종을 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문제 포착과 문제 해결을 능력을 갖춘 인재가 되는데 필수적인 논리기법입니다. 주홍색 연구 발췌독서를 통해 가추법을 익혀봅시다. 가추법 강의 교재 주홍색연구(코난 도일)_추리과학 _리디북스 분해매핑하기 단서찾기(개념/추가조사거리 등) 가추법 연결독서거리 네 사람의 설명 공포의 계곡 토론하기

펜맨_칼럼_위키하우스와스케치업_20140227

저는 주말이 다가오면 설레임을 느낍니다. 지난해 12월 미니공구세트인 유니매트 클래식(Unimat Classic)을 구입하고, 이 공구를 이용해 아이 장난감을 만들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동물,주방용품,자동차 등 10여가지 장난감을 나무를 소재로 만들었는데, 공구를 만질 생각을 하면 엔돌핀이 솟아나는 듯합니다. 유럽 오스트리아산인 유니매트 클래식은 2만 RPM 미니모터를 엔진으로 삼아 선반, 밀링,드릴,전기톱(Jig saw) 등 6개 공작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6개 도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미니모터를 이용해 필요할 때마다 새로 구성해야 합니다. 이는 마치 변신로봇의 변신과정과 같습니다. 유니매트를 만지는 즐거움은 손을 사용하는 데서 나옵니다. 미니 자동차를 만들려면 부품 설계도를 출력해 합판에 붙이고 톱으로 자르는 일부터 시작합니다.  톱작업은 정교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절로 몰입하면서 잡생각이 사라집니다. 예를 들어 틈만 나면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살피고 싶은 욕구를 작업에 몰입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억제할 수 있습니다. 유니매트를 접한 뒤, 손으로 만지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눈길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위키하우스가 제공한 방법으로 집을 짓는 모습 최근에는 위키하우스 프로젝트(www.wikihouse.cc)를 다룬 뉴스가 눈에 쏙 들어왔습니다. 영국의 알라스테르 파빈(Alastair Parvin)이라는 젊은 건축가가 시작한 사이트인데, 건축 설계도와 함께 집짓기 노하우를 공유해 누구나 집을 지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유된 건축설계도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서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 파일을 갖고, 나무 재료(주로 합판)을 구입해 CNC [a] 를 빌려주는 공구 공유 시설(예:CNC Workshop)로 갑니다. CNC는 파일 정보를 읽어 정교하게 합판을 차례로 잘라줍니다. CNC가 합판을 잘라 만든 집 부품들은 마치 어린이가 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