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펜맨_칼럼_위키하우스와스케치업_20140227

저는 주말이 다가오면 설레임을 느낍니다. 지난해 12월 미니공구세트인 유니매트 클래식(Unimat Classic)을 구입하고, 이 공구를 이용해 아이 장난감을 만들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동물,주방용품,자동차 등 10여가지 장난감을 나무를 소재로 만들었는데, 공구를 만질 생각을 하면 엔돌핀이 솟아나는 듯합니다.
유럽 오스트리아산인 유니매트 클래식은 2만 RPM 미니모터를 엔진으로 삼아 선반, 밀링,드릴,전기톱(Jig saw) 등 6개 공작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6개 도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미니모터를 이용해 필요할 때마다 새로 구성해야 합니다. 이는 마치 변신로봇의 변신과정과 같습니다.
유니매트를 만지는 즐거움은 손을 사용하는 데서 나옵니다. 미니 자동차를 만들려면 부품 설계도를 출력해 합판에 붙이고 톱으로 자르는 일부터 시작합니다.  톱작업은 정교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절로 몰입하면서 잡생각이 사라집니다.
예를 들어 틈만 나면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살피고 싶은 욕구를 작업에 몰입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억제할 수 있습니다. 유니매트를 접한 뒤, 손으로 만지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눈길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wikiHouse+London+Proto.jpg
▲위키하우스가 제공한 방법으로 집을 짓는 모습
최근에는 위키하우스 프로젝트(www.wikihouse.cc)를 다룬 뉴스가 눈에 쏙 들어왔습니다. 영국의 알라스테르 파빈(Alastair Parvin)이라는 젊은 건축가가 시작한 사이트인데, 건축 설계도와 함께 집짓기 노하우를 공유해 누구나 집을 지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유된 건축설계도 중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서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 파일을 갖고, 나무 재료(주로 합판)을 구입해 CNC[a]를 빌려주는 공구 공유 시설(예:CNC Workshop)로 갑니다. CNC는 파일 정보를 읽어 정교하게 합판을 차례로 잘라줍니다.
CNC가 합판을 잘라 만든 집 부품들은 마치 어린이가 즐기는 3D퍼즐 조각과 비슷합니다. 성인 3명이 모여서 부품 조각을 이리 저리 맞추면 이틀 만에 집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서구사회에서 공동창고(bar)을 마을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짓고 뒷풀이하는 의식을 21세기에 디지털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는 셈입니다.
위키하우스를 접하고 나서 저도 10평정도 땅이 있으면 당장 합판을 구해서 집을 짓고 싶은 욕망이 솟았습니다. 집이라면 전문업체만이 지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위키하우스를 이용하면 나도 친구들과 함께 충분히 지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유니매트와 위키하우스를 접하면서 디지털 시대 손기능을 부활시킨 제일 공신은  3D 설계 소프트웨어인 ‘스케치업(Sketchup)’이라는 점을 자각했습니다. 위키하우스에서 공유된 건축설계도면은 스케치업으로 만든 콘텐츠입니다.
sketchup.gif
▲스케치업으로 집을 설계하는 장면
스케치업은 복잡한 CAD대신 누구나 쉽게 3D 모델링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last software)이 2000년에 만들고 구글이 2006년에 인수하면서 널리 퍼진 소프트웨어입니다.  현재는 Trimble navigation사가 이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스케치업을 인수하여 무료 버전을 만들어 널리 뿌리면서 스케치업 파생효과가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위키하우스가 그중 하나입니다. 건축 분야의 협업지성 또는 집단지성 모델 활성화에 스케치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스케치업 파생효과는 3D프린터 활용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D프린터 가격이 낮아지면서 대중화되고 있지만, 평범한 사람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소프트웨어로 구상해서 이를 프린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스케치업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자신이 자신의 콘텐츠를 인터넷에 공유하고, 누구나 이를 다운로드받아 그대로 사용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3D프린터의 활용도가 크게 높아진 것입니다.
저는 디지털 시대가 성숙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숙화단계에서는 손으로 만질 수 없는 것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이 서로 만나는 흐름이 메가트렌드라고 생각합니다.
sketchup_program.PNG
▲스케치업으로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것을 골라서 작업하는 모습
유니매트를 예로 들면 업체가 제공하는 제작방법를 넘어서 저의 아이디어로 장난감을 만들려면 스케치업을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최근에 회사에서 장만한 3D프린터로 아이디어를 실현하려면 역시 스케치업을 다뤄야 합니다.
post-283-0-83738900-1352500844.jpg
▲미니 공작기계세트인 유니매트
위키하우스에서 집짓기에 필요한 모든 것을 얻어서 실현하려고 해도 스케치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스케치업과 같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이 워드프로세서처럼 대중화될 날이 머지 않은 듯합니다. 스케치업을 잘 다루면 3D프린터로 자신만의 옷을 만들고 있고, 특이한 모양의 초콜릿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병현 penman@penmedia.co.kr

우병현님이 다음 문서를 첨부했습니다.

펜맨_칼럼_위키하우스와스케치업_20140227
Google 문서: 온라인에서 문서를 만들고 수정해 보세요.
Google Inc.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USA
다른 사용자가 Google 문서의 문서를 나와 공유하여 발송된 이메일입니다.
Google 문서 로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분해매핑으로발췌독서하기_주홍색연구_추리과학

셜록 홈즈처럼 생각하기_홈즈의 가추법 배우기 코난 도일은 탐정 소설속 주인공인 셜록 홈즈를 통해 가추법을 정립했습니다. 홈즈가 사건을 의뢰받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은 가설추법, 즉 가추법입니다. 즉 단서를 수집합니다. 이어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몇가지 가설을 세웁니다. 가설에 따라 추가 단서를 수집합니다. 추가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가능성이 떨어지는 가설을 버리고 마지막 가설을 채택합니다. 홈즈 가추법의 핵심은 관찰력입니다.홈즈는 구두에 붙은 흙, 사건 현장에 떨어진 담배재, 옷 소매의 닮은 정도 등 단서를 예리하게 관찰합니다. 가추법의 두번째 핵심요소는 단서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지식입니다. 홈조는  런던 지역 토양, 담배 종류와 담배재 특징 등 범지와 관련된 단서를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필요한 지식을 평소에 지속적으로 쌓습니다. 홈즈의 가추법은 홈즈 시리즈를 관통하고 있지만, ‘주홍색 연구'와 ‘공포의 계곡' 도입부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가추법은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논리기법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가추법은 저널리스트가 특종을 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문제 포착과 문제 해결을 능력을 갖춘 인재가 되는데 필수적인 논리기법입니다. 주홍색 연구 발췌독서를 통해 가추법을 익혀봅시다. 가추법 강의 교재 주홍색연구(코난 도일)_추리과학 _리디북스 분해매핑하기 단서찾기(개념/추가조사거리 등) 가추법 연결독서거리 네 사람의 설명 공포의 계곡 토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