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펜맨_칼럼_월드와이드웹의아버지가한국에온다_20140130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한국 인터넷 상용화 20년, 명료한 비전을 찾자  
▲ 우병현 조선경제i 총괄이사
우병현 조선경제i 총괄이사 penman@chosun.com
1994년 6월 20일 PC에 전화선을 연결하고 [a][b]모뎀으로 한국통신의 코넷(Kornet)에 전화를 걸자, ‘삐~’소리와 함께 고퍼(Gopher) 화면이 모니터에 떴다. 이어서 인터넷 옐로북에서 하버드대 도서관 데이터베이스 주소를 찾아서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필요한 책 제목을 입력하자 책 목록이 모니터에 표시됐다.
오는 6월 20일은  한국에서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시작한지 만 20년이 되는 날이다. 1982년 한국전자기술연구소소 전길남 박사가 서울대와 연구소 사이에 한국 최초의 인터넷 SDN를 처음 구축한 이래 12년만에 인터넷이 대중에게 열리는 순간이었다.
1994년 한국통신은 PC와 전화선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같은 해 데이콤과  전 박사의 제자인 허진호씨가 세운 아이네트가 인터넷 상용화 서비스 대열에 합류함으로써 한국 인터넷 대중화의 길을 활짝 열었다.
한국 사회는 20년에 걸친 인터넷 대중화 과정에서 눈부신 성과를 일궜다. 전국 어디에서나 최고 수준의 유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한국인이 만든 스마트폰은 무선 인터넷 시대를 맞은 지구촌 최고 인기 품목이다.
이런 성과를 일궈 낸 데에는 산업화 과정에서 나라를 잃었던 뼈아픈 경험이 밑거름이 됐다. 한국사회 리더들은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를 제시하고, 정치권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정보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냈다.
인터넷 상용화 20년을 계기로 한국사회는 기존 정보화 전략을 반성하고,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한다. 오랫동안 한국식 정보화의 성공에 안주하면서 세계 인터넷 흐름과 멀어지면서 세계 인터넷에서 변방으로 밀려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공간은 정치, 지역, 이념, 세대간 대결 마당으로서 공동체를 분열시키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널리 알려진대로 인터넷 태동기 한국의 정보화는 정부주도형이었다. 특히 정부주도형 정보화는 초고속인터넷망을 전국에 촘촘히 까는데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러나 초고속인터넷망 구축이 완료된 이후에는 정부가 새로운 분야를 찾지 못한 채, 어설픈 국산화와 복잡한 규제장치 마련에 몰입하면서 시장과 점점 멀어졌고, 세계 인터넷의 주류와도 멀어졌다.
또 이명박 정부가 정보통신부를 해체함으로써 정보화 컨트롤타워 마저 사라지자, 각 부처가 영역 다툼을 하느라 5년을 허비했다. 아울러 시장은 세계 주류 흐름을 탈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박근혜정부가 등장하면서 미래창조과학부를 만들어 이전 정보화전략 수립 기능을 일부 복원했다. 하지만 현 정부도 ‘창조경제’라는 모호한 개념의 볼모가 되어 창조경제를 정의하는데 1년을 허비하고 말았다.
한국이 초기정보화 성공에 한 뒤, 방향을 잃고 헤매는 사이 인터넷의 본고장인 미국은 인터넷을 바탕으로 더 높이 비상했다. 한국에서 인터넷을 배워간 중국은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인터넷 중심국으로 부상하고 있고, 한국의 정보화에 한창 뒤처졌던 일본마저 새로운 흐름을 타고 있다.
인터넷상용화 20년을 계기로 정책분야를 비롯해, 산업계, 학계,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정보화 이후 정보화 과제를 필사적으로 찾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제는 정보화 과제도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맞이한 거대한 변화가 불과 20년 동안 이뤄진 것이라는 점과, 한국의 시장 크기를 감안하면 시장과 국민이 어디로 가야할지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정보화는 앞서가자’와 같은 간단 명료한 전략을 여전히 필요로 한다.
마침 인터넷 분야 세계적 학술대회인 월드와이드웹 콘퍼런스(WWW 2014)가 오는 4월 7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 대회에는 월드와이드웹을 만든 팀 버너스-리 MIT 교수를 비롯해 인터넷 관련 세계적 권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마음을 열어 우리가 놓친 것을 찾고, 귀를 열어 해외 인터넷 전문가로부터 한국의 새로운 과제에 대해 조언을 구하면 새로운 정보화 비전을 찾을 수 있다. 인터넷 강국으로서 한국인 이제 초심으로 돌아가 세계 인터넷 전문가로부터 지식과 지혜를 배워야 한다. 정보화의 최우선 과제는 정보화 이후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우병현님이 다음 문서를 첨부했습니다.

펜맨_칼럼_월드와이드웹의아버지가한국에온다_20140130
Google 문서: 온라인에서 문서를 만들고 수정해 보세요.
Google Inc.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USA
다른 사용자가 Google 문서의 문서를 나와 공유하여 발송된 이메일입니다.
Google 문서 로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귀독서법_전자책 TTS기능활용

귀독서법_전자책TTS기능활용 '디지털 시대 오디오의 재발견' 칼럼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귀독서'방법을 문의하셨습니다. 방법을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1,스마트폰에 리디북스 앱을 깐다. (안드로이드폰을 기준으로 설명) 삼성갤럭시 시리즈와 LG전자 G또는 V시리즈의 경우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에서 ‘리디북스' 단어로 앱을 검색합니다. 앱은 무료입니다. 2.원하는 전자책을 구매한다. 전자책을 사려면 리디북스 앱에서 아래쪽 메뉴중 ‘서점' 메뉴를 터치합니다. 서점에서 원하는 책을 찾고 구입 대상을 선택할 때, 듣기 기능 지원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 책은 듣기기능(TTS)를 제공합니다. PDF파일은 듣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3.전자책 뷰어 하단 메뉴에서 '듣기'버튼을 터치한다. 전자책을 사고 사서,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다운로드를 하면 내 서재에 표시됩니다. 내 서재에서 듣고 싶은 책을 선택합니다. 이어 전자책 뷰어의 기능중에서 맨 아래 메뉴 ‘듣기'를 터치합니다. 4.책읽어주는 기계의 목소리는 여자(수진)/남자(민준)중에서 고른다. 음성합성 목소리는 여자와 남자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5.듣기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듣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잠자기전에 듣기 타이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시간을 설정하면 1시간 후에 자동으로 듣기 기능이 멈춥니다.

분해매핑으로발췌독서하기_주홍색연구_추리과학

셜록 홈즈처럼 생각하기_홈즈의 가추법 배우기 코난 도일은 탐정 소설속 주인공인 셜록 홈즈를 통해 가추법을 정립했습니다. 홈즈가 사건을 의뢰받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은 가설추법, 즉 가추법입니다. 즉 단서를 수집합니다. 이어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몇가지 가설을 세웁니다. 가설에 따라 추가 단서를 수집합니다. 추가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가능성이 떨어지는 가설을 버리고 마지막 가설을 채택합니다. 홈즈 가추법의 핵심은 관찰력입니다.홈즈는 구두에 붙은 흙, 사건 현장에 떨어진 담배재, 옷 소매의 닮은 정도 등 단서를 예리하게 관찰합니다. 가추법의 두번째 핵심요소는 단서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지식입니다. 홈조는  런던 지역 토양, 담배 종류와 담배재 특징 등 범지와 관련된 단서를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필요한 지식을 평소에 지속적으로 쌓습니다. 홈즈의 가추법은 홈즈 시리즈를 관통하고 있지만, ‘주홍색 연구'와 ‘공포의 계곡' 도입부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가추법은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논리기법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가추법은 저널리스트가 특종을 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문제 포착과 문제 해결을 능력을 갖춘 인재가 되는데 필수적인 논리기법입니다. 주홍색 연구 발췌독서를 통해 가추법을 익혀봅시다. 가추법 강의 교재 주홍색연구(코난 도일)_추리과학 _리디북스 분해매핑하기 단서찾기(개념/추가조사거리 등) 가추법 연결독서거리 네 사람의 설명 공포의 계곡 토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