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펜맨_칼럼_창조경제를망치는낡은리더십과구태_20131201

창조경제를 망치는 낡은 리더십과 구태
우병현 조선경제i 총괄이사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우려하고, 비아냥거리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과 2차관이 따로 논다느니, 창조경제 정책이라고 해봐야 지난 정부 정책의 재탕이라느니 하는 비판이다. 심지어 창조경제의 수장인 미래부 장관이 관련 부처 장관과 정책을 조율할 엄두도 못 낼 정도로 힘이 없다고 한다.

비판자들은 박근혜 정부가 ‘창조'라는 추상적인 단어를 채택한 것 자체가, 창조경제의 무기력한 모습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는다. 창조경제론은 성공을 해석하는 개념이지, 성공을 위한 정책 수단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창조경제론은 한국 경제의 질적 성장에 대한 시대적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서, 그 자체를 문제로 삼는 것은 적절치 않다. 오히려 창조경제의 질적 성장론을 양적 성장 방법론으로 다루는 낡은 리더십과 공무원의 구태에서 문제점을 찾아야 한다.

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 경제는 양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삼성 쏠림'이 더 거세지면서 한국 경제 특유의 역동성과 생기가 사라지고 있다. 이를테면 중견 기업은 하나둘씩 차례로 망하고, 젊은이들은 삼성그룹 입사 시험에 목매달고 있고, 새로운 창업스타는 눈을 씻고 찾아도 없다.

이런 갑갑한 상황을 타개하려면 기존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새로운 성장 방법을 찾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재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보다 ‘모험적 선도자’(first mover)를 더 높이 사는 창조경제와 같은 질적 성장론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

모험적 선도자는 베낄 것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알고리즘을 만들려는 사람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적지에만 가려고 하지 않고, 가는 여정을 투명하게 밝혀 다른 사람이 표준으로 따르게 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아울러 눈에 보이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문제 해결 수단으로 삼는 사람이다.

박근혜 정부는 9개월 동안 창조타운 사이트 개설, 창업지원, 정부3.0 등 창조경제 실행 정책들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이들 정책은 하나같이 창조경제의 곁가지일 뿐이다. 시장이 기대하는 것은 선도자 인재 육성에 대한 구체적 실행론인데, 지금까지 그런 것을 듣지 못했다.

그래서 시장은 창조경제 첫해에 대해 낙제점을 매기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창조경제의 진정성을 살리면서 갑갑한 경제에 희망을 주려면 박 대통령은 개별 정책이 아니라, 모험적 선도자 인재를 키우기 위한 실천론을 제시해야 한다.

조선 역사에서 질적 성장에 성공했던 임금으로서 세종과 정조가 꼽힌다. 두 임금의 공통점은 혁신을 위해 인재와 지식이 만나는 공간을 먼저 만든 점이다. 세종은 집현전을, 정조는 규장각을 세워 고급 지식을 그곳에 채우고 전국의 다양한 인재를 불러보았다. 그 결과 집현전과 규장각은 지식과 아이디어가 마르지 않는 샘물 역할을 했다.

이처럼 새로운 인재를 키우려면 거대한 지식 공간부터 만들어야 한다. 이를테면 정부 주요 부처가 세종시로 옮겨가면서 역할이 바뀐 광화문 앞 정부종합청사를 아시아를 대표할 만한 대형 도서관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국내외 인재들이 이곳에 몰려와서 첨단 지식을 늘 접하고, 또 함께 24시간 365일 내내 머리를 맞대고 토론하면서 지식과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것이다.

혁신의 산실인 미국 실리콘 밸리도 인재와 지식이 늘 만나는 거대한 도서관이지, 기업과 공장이 모여 있는 산업 단지가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펜맨_칼럼_창조경제를망치는낡은리더십과구태_20131201
Google 문서: 온라인에서 문서를 만들고 수정해 보세요.
Google Inc. 1600 Amphitheatre Parkway, Mountain View, CA 94043, USA
다른 사용자가 Google 문서의 문서를 나와 공유하여 발송된 이메일입니다.
Google 문서 로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귀독서법_전자책 TTS기능활용

귀독서법_전자책TTS기능활용 '디지털 시대 오디오의 재발견' 칼럼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귀독서'방법을 문의하셨습니다. 방법을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1,스마트폰에 리디북스 앱을 깐다. (안드로이드폰을 기준으로 설명) 삼성갤럭시 시리즈와 LG전자 G또는 V시리즈의 경우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에서 ‘리디북스' 단어로 앱을 검색합니다. 앱은 무료입니다. 2.원하는 전자책을 구매한다. 전자책을 사려면 리디북스 앱에서 아래쪽 메뉴중 ‘서점' 메뉴를 터치합니다. 서점에서 원하는 책을 찾고 구입 대상을 선택할 때, 듣기 기능 지원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 책은 듣기기능(TTS)를 제공합니다. PDF파일은 듣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3.전자책 뷰어 하단 메뉴에서 '듣기'버튼을 터치한다. 전자책을 사고 사서,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다운로드를 하면 내 서재에 표시됩니다. 내 서재에서 듣고 싶은 책을 선택합니다. 이어 전자책 뷰어의 기능중에서 맨 아래 메뉴 ‘듣기'를 터치합니다. 4.책읽어주는 기계의 목소리는 여자(수진)/남자(민준)중에서 고른다. 음성합성 목소리는 여자와 남자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5.듣기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듣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잠자기전에 듣기 타이머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시간을 설정하면 1시간 후에 자동으로 듣기 기능이 멈춥니다.

분해매핑으로발췌독서하기_주홍색연구_추리과학

셜록 홈즈처럼 생각하기_홈즈의 가추법 배우기 코난 도일은 탐정 소설속 주인공인 셜록 홈즈를 통해 가추법을 정립했습니다. 홈즈가 사건을 의뢰받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은 가설추법, 즉 가추법입니다. 즉 단서를 수집합니다. 이어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몇가지 가설을 세웁니다. 가설에 따라 추가 단서를 수집합니다. 추가 수집한 단서를 바탕으로 가능성이 떨어지는 가설을 버리고 마지막 가설을 채택합니다. 홈즈 가추법의 핵심은 관찰력입니다.홈즈는 구두에 붙은 흙, 사건 현장에 떨어진 담배재, 옷 소매의 닮은 정도 등 단서를 예리하게 관찰합니다. 가추법의 두번째 핵심요소는 단서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지식입니다. 홈조는  런던 지역 토양, 담배 종류와 담배재 특징 등 범지와 관련된 단서를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필요한 지식을 평소에 지속적으로 쌓습니다. 홈즈의 가추법은 홈즈 시리즈를 관통하고 있지만, ‘주홍색 연구'와 ‘공포의 계곡' 도입부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가추법은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인 논리기법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가추법은 저널리스트가 특종을 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문제 포착과 문제 해결을 능력을 갖춘 인재가 되는데 필수적인 논리기법입니다. 주홍색 연구 발췌독서를 통해 가추법을 익혀봅시다. 가추법 강의 교재 주홍색연구(코난 도일)_추리과학 _리디북스 분해매핑하기 단서찾기(개념/추가조사거리 등) 가추법 연결독서거리 네 사람의 설명 공포의 계곡 토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