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소셜 리딩]김언수의 뜨거운 피_독서 인연

후배 어수웅부장의 글을 통해 김연수 작가를 만났다. 김작가는 어부장과 동갑내기로 문학을 소재로 술 잔을 나누는 사이라고 한다. 순수 문학과 거리가 좀 멀지만, 어부장 글을 통해 김작가에 호감을 갖고 리디북스에서 책을 검색해서 한 권을 샀다. 그 책이 ‘뜨거운 피'다.
뜨거운 피 초반부를 들으니, 부산의 바닷가 동네를 소재로 뒷골목 주먹 이야기였다.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계속 들으면서 스토리에 쏙 빠졌다. 필자도 부산에서 자랐기에 소설 속 캐릭터들이 익숙하고 또 생생했다. 스토리를 이리 저리 뒤집으면서 속도감있게 끌어가는 작가의 솜씨도 호감을 줬다.
책의 절반쯤 들었을 때, 다른 호기심이 생겨 인터넷 서점에서 다시 김연수 작가의 책을 검색했다. 김연수 작가의 고향이 김천이라는 점을 알았기에, 어떻게 부산 바닷가 조폭의 세계를 잘 묘사했는지를 궁금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뜨거운 피'는 눈을 씻고 찾아도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뜨거운 피'라는 제목으로 책을 찾으니, 그 책의 저자는 ‘김언수'였다.
김언수 작의 뜨거운 피를 듣고 나서, 다시 ‘캐비닛설계자'를 잇따라 들었다. 모든 인연은 귀를 열고 눈을 뜨야 비로소 맺어지는 모양이다. 11월 27일 아침 신문을 펼치면서 김언수 작가가 유럽에서 주목받고 있는 소식이 눈에 확 들어왔다.
김작가 소설은 재미있다. 한국 문단이 주로 인간의 본성을 파고 드는 단편이 주류를 이루는데, 김작가는 스릴러 장편을 솜씨있게 빚어낸다. 무엇보다 김작가의 상상력이 매력적이다. ‘구암바다' ‘푸주' 등 가상의 공간을 무대로 설정하고, 현실 한국에서 상상하기 어려운 드라마틱 하면서 생동감 넘치는 스토리를 만든다.
내가 읽었던 한국 소설에서 느꼈던 갑갑함을 훌훌 떨어주는 기법이다. 한반도는 삼면이 꽉 막힌 섬이다. 섬이면서도 바다로 외부 세계와 자유롭게 이어지지도 않는다. 섬은 섬이 돼 고립된 섬이다. 현실 국제 정치 질서 속에서, 배타고 중국이나 일본으로 훌쩍 떠날 수도 없다. 북으로 방향을 잡아봤자, 간첩 이미지밖에 묘사하기 어렵다.
한반도의 반쪽 안도 구조가 소설감으로 부적합하다. 한반도를 무대로 삼은 소설에선 ‘레 미제라블'의 하수구가 등장하지 않는다. 위성으로도 추적하기 어려운 아프카니스탄의 산악지대도 없고, 잠수함을 숨길만한 해저동굴 도 없다.
김작가 소설은 한반도의 소설무대로 한계를 독특한 방식으로 돌파했다.
아쉬운 대목. 한국 소설, 특히 폭력을 소재로 한 소설에서 담배와 소주가 너무 자주 등장한다. 캐릭터들이 서로 부딪히는 결정적인 장면은 꼭 담배나 술이 등장한다. 복잡 미묘한 감정을 담배 한대와 소주 한잔으로 표현하면 전달력이 있으니 남발하면 식상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