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직장인 독서력]칩 히스 스탠퍼드대 교수 인터뷰


특별한 순간을 선물하는 기업이 살아남는다. ‘스틱'저자 칩 히스 교수는 누구나 훈련만 하면 뇌에 착 달라붙이는 스티커 메시지를 만들 수 있는 방안(SUCCESs)을 제시했다.
히스교수는 최근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는 원리를 분석한 ‘스위치'를 출간해 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움을 줬다.
위클리비즈 유한빛기자가 칩 히스를 만나 사람 행동을 바꾸는 4개의 순간을 자세하게 물었다.
히스 교수는 인터뷰에서 "고객을 사로잡는 기업은 소비자들의 '결정적인 순간(defining moment)'을 성공적으로 포착한다"며 경영인들이 순간중심적인 사고를 할 수 있어야 조직문화, 제품,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사람들은 휴가 기간에 겪은 모든 일 중 하이라이트만 기억하고, 그 내용에 따라 휴가 전체에 대한 기억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남습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들에게 강렬한 기억을 남긴 특정한 순간은 곧 해당 기업이나 제품, 서비스에 대한 평가로 이어집니다."
히스 교수에 따르면 이런 결정적인 순간은 '고양의 순간' '통찰의 순간' '긍지의 순간' '교감의 순간' 등 네 가지로 나뉜다. 그는 "이 같은 특별한 순간들은 기업에 대한 소비자나 직원의 평가를 좌우하는데, 이는 비즈니스 리더들이 노력으로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고객을 사로잡는 4개의 순간을 학습하고 토론합니다.

교재

토론거리

고객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고양의 순간'을 조선닷컴에서 만들 수 있는 방안은?
회사를 떠난 직원들을 초대해 현직 전직 직원들이 함께 교감을 시간을 갖는 딜로이트 사례를 조선비즈가  적용한다면?

댓글

  1. 고양의 순간을 비롯하여 다른 순간들 모두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느껴지고, 만들어진다. 같이 호텔에 온 사람들과 같이 아이스크림을 먹을때 좋고, 부모가 아이의 MRI 검사를 멋진 어드벤처테마에서 즐겁게 할 수 있을때 기쁜것이다. 조선닷컴은 온라인 독자들에게 무엇이 필요한 지 알고 싶은 기사를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지인들에게 내가 기사를 보고 발견한 이 사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나의 의견에 사람들이 반응하여 뿌듯할 수 있도록 말이다. 또한 다양한 오프라인 모임을 소개하여 참석했을때 멋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 조선닷컴을 통해 멋진 사람을 알 수 있을때야 말로 좋은 순간이 될 것이다.
    전직 직원들과의 만남의 장은 의도는 좋지만, 나갈때 좋게 나간 사람들. 즉 더 좋은 기회 또는 다른 이유로 그만 둔 사람들에게는 참 좋은 만남이 될 것이다. 그러나, 힘들어서 나가거나 회사의 푸쉬로 나간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을것이다. 나갈때도 인연이 될 수 있도록 배려하는 문화가 만들어진 이후에 하면 좋을 거 같다.

    답글삭제
  2. 조선닷컴이 독자들에게 고양의순간을 주기 위해선 다른 언론 매체들처럼 단순한 정보전달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그 정보를 즐기고 또다른 리워드가 있다면 독자들도 고양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사마다 페이스북처럼 좋아요, 기뻐요 웃겨요 등 각 감정을 달 수 있게하여 참여하게 하고, 단순히 많이 본 뉴스, 댓글많은 뉴스뿐만 아니라 랭킹의 범위를 넓히고 댓글 점수, 참여 점수 등을 포인트화여 네이버지식인의 내공처럼 독자들의 참여 등급을 부여하여 참여도를 높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울러 누적된 포인트로 경품, 기부 등의 리워드를 준다면 조선닷컴을 통해 고양의순간을 느끼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직 직원들과의 모임은 아직 회사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장 퇴사한 직원보단 현재 다니고 있는 직원의 긍지를 높이는것이 중요하며, 1년에 한번 송년회 정도는 막내 장기자랑, 고깃집 술자리보다는 호텔 등을 빌려, 가족과 함께 디너 식사와 함께 공연을 즐기는 그런 행사를 만들고 강제 참여가 아닌 정말 가족들과 함께 참여하고 싶은 행사가 되어 이어진다면 퇴사 이후에라도 그 행사만큼은 꼭 참여하고 싶을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

[소셜 리딩]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_Freelancer 스토리

조승연씨의 책을 지인 소개로 듣고 있습니다. 조승연씨의 글을 위클리비즈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몇해 전에 위클리비즈가 영어 어원을 인문학적으로 풀이하는 기획 시리즈를 연재했습니다. 처음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리디북스에서 다운로드 받아 듣기 시작했는데, 점점 조씨의 구라에 빨려들었습니다. 가장 재미있게 들은 대목은 'Freelancer'입니다.  영불간 100년 전쟁이 끝난 뒤, 먹고 살기 위해 용병에 나선 기사가 만든 군대 조직이 'Free Company'였습니다. 그리고 용병들이 고용주와 계약을 할 때 계산 단위가 기사의 창 단위인 'lance'였다고 합니다.  1 lance는 기사 한 명에 궁수 서너명, 그리고 갑옷 등 군수품 담당자 서너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대체로 6~9명 정도가 1 lance 구성요소였습니다. Freelancer는 Free company와 lance가 융합되어 탄생한  것인데, 19세기 '아이반호'를 쓴 월터 스콧이 소설속 군주에 소속되지 않은 기사를 'Freelancers'라고 표현하면서 프리랜서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경제에서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일을 하는 프리랜서(또는 프리 에이전트)가 맹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숍은 프리랜서에게 베이스 캠프역할을 합니다. 조승연씨의 위클리비즈 연재 칼럼(인문학으로 배우는 비즈니스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