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차 스타트업은 300여 개에 달하고, 이 가운데 유니콘만 10개사 수준이다.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 횃불센터가 올 3월 내놓은 '중국 유니콘 발전 보고서'에 오른 164개 기업 가운데 전기차 업체는 8개로 대형 국유기업인 베이징자동차 계열사(베이징 신에너지차)를 빼면 7개사다. 처허자(車和家)와 FMC바이텅(拜騰) 등 시장에서 기업 가치가 10억달러를 웃도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기차 스타트업과 미국에서 창업했지만 중국 기업인이 세운 패러데이퓨처(FF)를 합치면 10개로 늘어난다. 전기차를 혁신 동력으로 삼아 전통 자동차 시장에서 뒤진 열세를 만회겠다고 나선 '중국판 테슬라'들이다.
지난 5월 중국 자동차 업계에 때아닌 샤오미(小米) 모델 논란이 일었다. 중국자동차 백서 포럼에 참석한 처허자의 리샹 CEO가 "자동차로 돈을 안 벌고,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로 돈을 번다는 건 헛소리"라며 샤오미 모델이 자동차에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발언은 치뎬자동차의 선하이인 창업자가 하드웨어는 높은 가성비로 싸게 팔고, 서비스로 돈 버는 샤오미 모델로 중국판 테슬러가 되겠다고 한 호언에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스마트폰에 비해 자동차는 복잡해 하드웨어가 더 중요하다. 샤오미보다 브랜드 인지도를 키우는 애플 전략을 따라가야 한다"는 자신광 중국자동차공업컨설팅 수석 애널리스트의 지적도 같은 연장선에 있다.
하지만 자동차가 생산되어 폐차되기까지의 생명 주기에서 판매가 차지하는 비용은 20%에 불과하다며 공유 자동차 등 렌털 서비스와 자율 주행 등의 서비스에 역점을 두겠다는 중국판 테슬라들이 적지 않다.
웨이마자동차는 2020년까지 1만5000여 대를 관광지 렌털 서비스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치뎬은 수익 모델의 하나로 공유 전기차 서비스를 검토 중 이다.
쏟아지는 '중국판 테슬라'들 혁신이냐 거품이냐 2018년 8월 18일자 오광진 조선비즈 베이징특파원
토론하기
중국발 전기차 붐이 세계 자동차 산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전기차가 스마트폰처럼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기반으로 성장할 것인가?
전기차가 스마트폰처럼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기반으로 성장할 것인가?
전기차의 경우 판매보다 공유 서비스 모델이 더 유망한가?
전기자동차가 중국에서 발전하게된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대기오염에 대한 방지책으로 정부에서 강한 진흥과 규제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들도 같은 이유로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전기차 빅뱅은 자동차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이다. 이제는 자동차에 대한 개념과 인식이 바뀌어 모빌리티로 봐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다. 편리한 서비스들이 더욱 빠르게 진화될 것이다.
답글삭제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삭제전기차가 상용화 되기 위해서는 무엇전기차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성장할 것이며 현재까지는 공유 서비스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기차가 전국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필수적인 충전소(하드웨어)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합니다. 충전소 인프라가 특정 구역/도시에만 구축된다면 전기차를 살 유인이 떨어집니다. 더욱이 전기차 충전 시간과 비용이 기존 차량과 비슷해지거나 더 편리해지고 싸야 구입을 할텐데, 지금으로서는 기존 자동차들이 더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아직까지 전기차는 인프라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상용화 되기는 시기상조며, 인프라가 구비된 특정 지역에서 공유 서비스로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보다 하드웨어가 중요합니다.
답글삭제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중국 정부는 매연등의 공해로 전기차의 적극적인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선전시는 전기버스로 교체하고 있고, 택시 역시 전기차 택시로 교체할 뿐만 아니라 보조금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선전의 전기차 충전소는 12만개로 도로에 최소 900m 마다 공공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는 셈입니다. 기술력을 떠나서 정부의 지원 정책과 인프라는 다른 나라의 모범사례로 보이며, 중국 시장에서 전기차의 안정적인 성공이 전 세계의 전기차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아울러 자동차를 스마트 모빌리티라는 점으로 접근했을때 재산의 개념으로 이동이 아닌(현재 자동차는 이동보다는 재산, 소유의 개념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로서의 이동으로 개념을 전환할 경우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 생각되며
같은 개념으로 전기차가 아닌 자율주행 스마트카로 확대 해석을 하면 단순히 소유의 아닌 서비스를 공유하는 형태로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전기자동차 시장이 커지면서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전기차 연구와 중국진출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테슬라가 상하이에에 자동차 제조 공장을 설립해 연 50만대를 생산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전세계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글삭제중국의 전기차 양산 계획은 2021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전까지 중국의 배터리 품질이 한국,일본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결국 값 비싼 배터리 수입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 실패의 결과가 나올 수 있어 중국의 기술 발전이 중요할 것입니다.
또한 전기차를 상용화 하면서 카셰어링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주행요금이 없는 점, 환경보호를 위해서라도 전기차 이용률이 높아질 것이고 결국 판매로 이어질 것이라고 봅니다.
중국 정부는 약 30년 전부터 전기차 프로젝트를 시작해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기점으로 대규모 시범사업을 벌인 데다, 2020년에는 자동차 산업 구조를 아예 전기차 위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답글삭제실제로 전기차는 전통 자동차 선업에서는 뒤져있던 중국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며, 석유 수급 문제와 환경 문제를 타개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것이다.
공급 측면에서 연구개발·시범사업에 대규모로 지급하는 보조금 말고도, 수요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막대한 구매 보조금과 세금 감면을 비롯한 파격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서 이 세계 최대의 시장은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절반을 소화하고 있다. 어마어마하다. 세계 자동차 산업 지형을 바꿀 만하다.
이동·수송 수단으로서의 '차'가 제공할 수 있는 이전과 다른 경험이 있을 수 있을까?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의 발전은 어디까지나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경험에 복무할 뿐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별 소유와 운행이 원활하도록 제반 인프라가 갖춰지기 전까지는, 공유·공용의 형태로 전기자동차를 체험하는 흐름이 더 대세를 이루지 않을까 전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