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직장인 독서력]콘텐츠의미래_디지털 화재 편

바라트 아난드의 ‘콘텐츠의 미래'를 읽었다. 원제목은 ‘Content trap’이다. 전통미디어를 포함해 미디어 업계가 디지털 시대에 어떤 잘못을 범했고, 그 잘못에서 벗어난 곳은 어떻게 디지털 시대 성공 레시피를 만들었는가를 분석한 책이다.
아난드의 책중 ‘디지털 화재'편을 발췌해서 분해매핑하면서 읽었다. 이 장은 책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내용을 담고 있다.
아난드는 1988년 미국이 자랑하는 국립공원 옐로스톤 대화재 스토리를 먼저 꺼낸다. 당시 불은 담배꽁초로 인해 작게 시작됐다. 하지만 화재 진압부서안에서 진화 방법을 놓고 대립하는 가운데 불은 옐로스톤을 초토화시켰다. 화재 초기에 장비와 인력을 총 동원해 조기에 잡자는 조기진화론과, 과거 경험에 기초에 적당한 시점에 자연스럽게 끄질 때까지 기다려지다는 자연진화론이 맞섰다.
아난드는 옐로스톤 대화재에서 도화선같은 화재 원인을 찾는 것보다 화재 확산 메커니즘과 화재 대응 방식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어 디지털 공간의 ‘디지털 대화재'역시 그런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말한다.
디지털 대화재란 유튜브, 페이스북, 넷플릭스는 음악, 책, 신문, 영화 등 전통 콘텐츠를 삼키고 있는 메가 트렌드다. 마이크로 미디어가 폭증하고, 콘텐츠는 공짜라는 인식이 보편화됐다. 그런데 전통 콘텐츠 업체들은 콘텐츠 수호 전략에 집착해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다. 바로 모든 원인과 대책을 콘텐츠 자체에서 찾는 ‘콘텐츠 함정'에 빠져 있는 것이다.
콘텐츠 함정에 빠지는 첫 번째 유형은 제품 특성에 초점을 맞춰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확산을 불러온 상황을 인식하기 보다 빌미에만 집착하는 것이다. 사용자들이 공유와 연결관계를 택하게 된 원인은 제쳐두고, 제품의 특징만으로 성공과 실패가 결정된다고 믿는 것과 같다. 원인과 결과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두번째 유형은 콘텐츠를 지키려는 노력이다. 가진 것이 그것 뿐이라는 생각때문이다. 하지만 현명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현재의 아픔보다 내일의 혜택을 바라봐야 한다. 콘텐츠의 죽음이나 붕괴가 아니라 그안에 숨은 기회에 집중하는 것이다.
마지막 유형은 최상의 해결책을 찾는데 집착하는 것이다. 마법의 특효약을 찾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믿는다. 경쟁사를 모방하라, 다른 이들에게 배워라, 모범 사례를 적극 수용하라 귀에 못이 박히도록 이런 조언을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전후 사정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세가지 디지털 화재 대책론은 전통 미디어 종사자들이 디지털 기술 혁명을 맞아 조직 내부에서 늘 듣던 이야기다.
블로그, 소셜미디어 등 새로운 콘텐츠 유통플랫폼이 유행할 때마다 리더는 ‘우리가 살 길은 콘텐츠다. 콘텐츠를 잘 만드는 방법을 찾자'고 말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디지털 기술의 가장 중요한 매직인 연결관계를 놓쳤다.
콘텐츠는 세 가지 연결성을 갖고 있다. 첫째 사용자들이 공유라는 방법으로 콘텐츠를 매개로 연결된다. 제품은 포트폴리오내 제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시너지는 내는 것을 뜻한다. 공짜 콘텐츠 흐름속에서 과감하게 특정 제품을 공짜로 풀거나 가격을 내리는 것도 제품 연경을 꾀하는 전략이다. 핵심 제품에만 집중하면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려는 노력은 디지털 공간에선 물거품이 되기 십상이다.
셋째 기능적 연결이다. 제품의 여러 기능간 연결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기만의 해답을 찾는 것이다. 어떤 제품이라도 브랜드,생산조직 문화,차별성,소비자 인지 등 여러 요소가 얽혀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면 실패하기 마련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경우 디지털 시대에서 성장세을 유지하고 있는데, 그 비결은 자신의 장점을 살리는 독창적 디지털 전략이다. 이에 비해 뉴스위크는 콘텐츠에 집중하고 가격을 올리는 등 우왕좌왕하다가 결국 역사 무대에서 사라졌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직장인 독서력]로봇의 진격,축복인가 재앙인가

스포츠용품기업 아디다스는 인건비가 싼 해외로 생산공장을 이전한 지 23년 만인 2015년 독일 안스바흐로 복귀하면서 고용 인력을 600명에서 160명으로 줄였다. 로봇 자동화 공정을 갖추고 개인 맞춤형 상품을 3D 프린터로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많은 인력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도 인도 첸나이에 스마트공장을 운영 중이다. 590대 협동로봇이 일하는 이곳에서는 30초마다 한 대씩 완성차가 출고된다. 미래학자 마틴 포드는 저서 ' 로봇의 부상 '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합리적인 기업가라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경우 거의 예외 없이 그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로봇시대는 이제 공상과학 속 미래가 아닌 현재다.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로봇은 이미 일자리를 놓고 사람과 경쟁을 시작했다. 일자리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노동자 임금도 줄어들고 있다. 미국 MIT대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1990~200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더니 노동자 1000명당 로봇 1대가 활용되면서 노동자 고용률을 0.18~0.34%포인트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36만~37만개 일자리에 해당한다. 임금도 0.2~0.5%포인트 깎였다. 그는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며 2025년에는 근로자 1000명당 로봇 수가 5.25대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고용은 0.94~1.76%포인트, 임금 성장률은 1.3~2.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로봇연맹(IFR) 2016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으로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난 나라다. 제조업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를 의미하는 로봇 밀집도(산업용 로봇 기준)를 보면 한국은 531로, 싱가포르(398), 일본(305) 등을 웃돈다. 세계 평균(69)과 비교하면 7.7배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해 11월에 일자...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아침 출근길에 리디북스로 책을 듣다가, 이 구절을 공유했습니다. 몇해 전에 북유럽 모델 관련 책을 조금 읽었습니다. 희망찾기 노력이었습니다. 핀란드 출신으로 미국 남자와 결혼해 핀란드 시각에서 미국의 내부를 해부한 책입니다. 현 시점 한국 사회에서 희망을 찾고 싶은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 읽고 토론을 했으면 합니다. 한국의 현재도 냉철하게 돌아보고 대안을 찾았으면 합니다.

[직장인 독서력]2018년 학습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2018년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 참여 소감 2018년 한 해동안 [직장인 독서력]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습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한 해 학습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면서 참여 소감및 의견을 구합니다. 직장인 독서력 프로그램의 목표는 날 것(신문 기사)과 마른 것(고전)을 지그재그로 읽으면서 글쓰기, 메시지 작성, 소통, 메가 트렌드 읽는 법 등을 스스로 공부하는 것입니다. 아래 포인트에 따라 댓글로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점 아쉬운 점 2019년에 반영할 점 기타_자유기술